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퇴거명령, 부모님도 가능할까?

by 인생은달고나맛 2025. 6. 26.
반응형

“내 명의 땅인데, 부모님이 나가주시질 않아요. 퇴거 명령이 가능할까요?”
이런 상황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자녀 명의의 농지에서 부모님이 장기간 거주하며 경작 중인 경우, 법적·정서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더 어려운 문제죠.

이번 글에서는 실제 15년·8년 이상 농지 사용 사례를 기준으로 퇴거 명령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1. 부동산 퇴거명령, 법적으로는 가능합니다

민법 제213조에 따라, 부동산 소유자는 점유자에게 퇴거 및 인도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내용증명 발송 – 퇴거 요청 및 기한 명시
  2. 명도소송 제기 – 미이행 시 관할 지방법원에 소송 접수
  3. 승소 후 강제집행 – 집행관 입회하에 강제 인도

👉 하지만 ‘부모님’이라는 특수 관계가 걸려 있기 때문에 재판부는 권리남용 여부도 따집니다.


⚠️ 2. 부모님이 농지에서 실경작 중이라면?

농사를 계속 지어오신 경우, 부모님은 단순 거주자가 아닌 **‘실경작자’(임차농)**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농지법·농지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아래와 같은 보호를 받습니다:

  • 최소 3년 계약 보장
  • 자동 갱신 시 종료 3개월 전 통보 필수
  • 해지에는 정당한 사유 필요

즉, 아무리 소유자여도 일방적인 퇴거 명령은 법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특히 15년 이상 거주·경작한 경우, 법원은 ‘묵시적 임대차 계약’ 또는 **‘사용대차 관계’**로 해석할 수 있으며, 부양의무나 생계보장 이슈도 함께 판단합니다.


💡 3. 현실적인 해결 절차는?

  • ① 내용증명 발송: 퇴거 요청과 기한 명시
  • ② 협의 시도: 이사비 지원, 대체 주거 마련 제안
  • ③ 명도소송 제기: 관할 지방법원에 접수
  • ④ 강제집행 요청: 승소 후 집행관 입회 하 집행

하지만 현실에서는 협의와 조정이 핵심입니다.
단순 법적 승소보다 가족 관계 유지와 갈등 최소화가 더 중요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 4. 매각 전 꼭 확인할 사항

  • 농지를 팔려면 매수인 자격 요건도 중요합니다
    (→ 농업경영자 자격, 용도 변경 가능성 등)
  • 매수인이 조건을 갖추지 못하면 매매 계약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가족’과 ‘농지’라는 특수성이 핵심 변수입니다

소유자라서 퇴거 명령이 무조건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15년 이상 사용된 농지라면 실경작자로 보호받을 가능성이 높고, 소송 절차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 가장 현명한 방법은 ‘내용증명 발송 후 조정 시도’입니다.
필요시 변호사 상담을 병행하며 감정적 충돌을 줄이고, 법적 분쟁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